본문 바로가기
건축시공/지정 및 기초공사

[지정 및 기초공사] 기초와 지정의 분류

by Master builder 2023. 2. 4.
반응형

1. 기초판 형식에 의한 분류

(1) 독립기초

하나의 기초판이 한 개의 기둥을 지탱하는 형태를 말한다.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도 용이하지만 기초의 부동침하 등 우려가 있다.

소규모 건축물과 공장, 창고 등의 스팬이 긴 건물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2) 복합기초

하나의 기초판이 두 개 이상의 기둥을 지지하고 있는 방식으로 독립기초와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형 건축물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형태의 기초이다.

(3) 연속기초

기둥 또는 벽체의 하중을 연속된 기초로 지지하는 형식으로 줄기초라고도 한다. 주로 조적구조의 건축물에서 많이 사용된다.

(4) 온통기초

상부구조의 전 하중을 하나의 기초판으로 지지하는 형태의 기초이다. 대형 건축물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지반 허용지지력이 작을 경우에도 사용된다.

 

2. 지정에 의한 분류

(1) 간단한 지정

소규모 건축물 또는 지반의 상태가 양호할 경우에는 말뚝이나 피어를 시공하지 않고 모래, 자갈, 잡석, 버림 콘크리트 등의 간단한 지정으로 하게 된다. 보통지정, 직접기초라고도 한다.

(2) 말뚝지정

기초판으로부터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기 위하여 기초판 아래에 설치하는 기둥형태의 지정을 말뚝지정이라 한다.

나무말뚝, 강재말뚝, 기성콘크리트말뚝 등이 여기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피어보다는 지지력과 크기가 작다.

말뚝은 주로 항타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지는 반면, 피어는 굴착과 현장타설에 의해 시공되는 경우가 많다.

(3) 피어지정

기초 슬라브로부터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해서 설치한 기둥모양의 지정으로, 최소 직경 또는 너비가 대략 80cm 이상이고, 길이가 최소 직경 또는 너비의 2~3배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이것으로 지지되는 형식의 기초를 피어기초라고 한다.

피어는 일반적으로 상부구조의 하중을 연약층 아래에 있는 단단한 지반으로 전달시킬 목적으로 쓰인다.

 

3. 간단한 지정

(1) 제물지정

경질지반에 직접 기초판을 시공하여 기초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2) 모래지정

연약지반 2m 이내 굳은 층이 있을 때 그 연약층을 파내고 모래를 넣어 물다짐 하는 지정을 말한다.

모래의 층두께가 충분하여야 하고 물을 주면서 두께 30cm 마다 충분히 다져야 한다. 모래지정 시공에서는 물의 유동, 모래의 유실 및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고려하여야 한다.

(3) 자갈지정

모래나 잡석대신 5~10cm 정도의 자갈 또는 쇄석을 소정의 두께로 깔고 충분히 다져 만든 지정을 말한다. 배수를 목적으로 사용하며 위에 타설 되는 버림 콘크리트의 양을 줄이는 역할도 한다.

(4) 잡석지정

15~30cm 정도의 막돌 또는 호박돌을 옆세워 깔고 사춤자갈, 모래 섞인 자갈 등으로 틈막이를 한 후 다진 것이다.

잡석지정의 목적은 기초콘크리트가 흙과 섞이지 않도록 하고, 기초 방수 배수처리가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두께를 절약하기 위함이다.

(5) 버림(밑창)콘크리트 지정

먹매김을 위해 잡석, 자갈 지정 위에 최소 5cm 정도의 콘크리트를 평평하게 친 것을 말한다. 배합은 1:3:6 정도로 하고 윗면은 될 수 있는 대로 평탄하게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