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2 [지정 및 기초공사]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공법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은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이라고도 부른다.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공법의 종류에는 크게 관입공법, 굴착공법, 프리팩트 파일 공법 등이 있다. 개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은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이라고도 부르며, 현장에서 지중에 구멍을 뚫고 그 속에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를 충전하여 형성하는 말뚝을 말한다. 1. 관입공법 1) 컴프레셜 파일(compressol concrete pile) 1.0~2.5t 정도의 세 가지 추를 이용하여 끝이 뾰족한 추로 지반을 천공한 후 잡석과 콘크리트를 교대로 투입하면서 끝이 둥근 추로 콘크리트를 다져 넣은 후 평평한 추로 다지는 방법이다. 요즘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공법이다. 2) 심플렉스 파일(simplex concrete pile) 굳은 지반에 강관.. 2023. 5. 23. [지정 및 기초공사] 말뚝 지정 1. 말뚝의 목적에 의한 분류 (1) 지지말뚝 : 말뚝을 연약한 지반을 관통시켜 견고한 지반에 도달시킴으로써 선단지지력에 의하여 하중을 지반에 전달한다. (2) 마찰말뚝 : 굳은 지반이 깊이 있을 경우, 말뚝과 지반의 마찰력에 의하여 하중을 지지한다. (3) 다짐말뚝 : 무른 지반을 밀실 하게 다지기 위한 목적으로 말뚝을 사용하는 경우로, 느슨한 사질토 지반을 압축하여 지반개량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말뚝의 재료 및 제조방법에 의한 분류 말뚝의 재료와 제조방법에 따라서 나무말뚝, 강재말뚝, 기성 콘크리트 말뚝,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나무말뚝 장점 단점 가공 및 취급이 편리하다 공기, 시공, 가격 측면에서 유리하다 하중이 적고 상수면이 얕은 곳에 유리하다 말뚝 재.. 2023. 2.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