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축시공/가설공사8

[가설공사] 가설통로 가설통로를 설치할 때에는 작업자가 원활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 경사지게 가설통로를 설치할 경우 경사각은 30도 이내로 하고, 미끄럼막이를 설치한다. 경사로의 최소 폭은 90cm 이상, 발판의 폭은 최소 40cm 이상 최대 1.6m 이하, 발판 틈새는 3cm 미만, 그리고 발판을 겹쳐이을 때는 20cm 이상 겹치도록 한다. 가설통로의 종류 종류 경사도 폭 경사로 30도 이내 90cm 이상 가설 계단 30~60도 100cm 이상 사다리 60~90도 30cm 이상 작업발판 180도 40cm 이상 Trap 90도 40cm 이상 2023. 1. 17.
[가설공사] 비계 비계의 정의 건물 내외부에는 공사 시행에 편리하고 구조적으로 안전하며 외관이 흉하지 않은 구조로 비계 또는 안전시설 등을 설치하여 수시로 점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여야 한다. 비계란 건설현장에서 근로자가 지상 또는 바닥으로부터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을 시공할 수 있도록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발판, 작업통로를 설치하기 위함을 주목적으로 하는 가설구조물을 의미한다. 비계의 조건 작업 또는 통행에 충분한 면적일 것 자재의 운반과 적치가 가능할 것 작업 대상물에 가능한 한 접근할 수 있을 것 작업자의 추락방지와 재료의 낙하방지 조치가 있을 것 작업과 통행에 방해되는 부재가 없을 것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할 것 사람과 적치 자재의 하중에 대해서 충분한 내력이 있을 것 비계의 종류 비계의 종류에는 크게 조립.. 2023. 1. 16.
양중 장비 건설현장에서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 중량물을 상하좌우로 운반하고, 또한 작업자와 자재를 건물의 상층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양중장비로는 타워크레인과 호이스트 등이 있다. 최근에 건축물이 고층화 되고 있음에 따라 이러한 양중장비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1. 타워크레인 타워 크레인은 붐의 작동방식과 상승·이동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붐의 작동방식에 따른 분류 수평형 타워크레인(horizontal type) 기복형 타워크레인(luffing type) (2) 타워크레인의 배치 건물 안 건물 밖 대지 상황 대지의 여유가 없는 건물 대지의 여유가 충분한 건물 마감 공사 마감공사가 복잡 영향이 없음 적정 건물 일반 상업용 건물과 같이 마감이 단순한 건물 호텔 또.. 2023. 1. 13.
[가설공사] 가설용수 및 가설전기 가설용수 가설용수는 공사용, 방화용, 식수, 위생설비, 청소를 위해서 지하수를 개발하여 사용하거나 상수도를 현장에 인입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지하수 개발이 가능할 경우는 지하수를 공사용수로 사용하고, 지하수 개발이 어려울 경우에는 상수도를 사용하는 편이다. 현장에서 사용하는 위생용수는 현장사무실, 화장실, 숙소, 세면장용의 경우, 하루에 1인당 40ℓ를 기준으로 하며, 공사용수는 공사용, 세륜용 등으로 바닥면적 100㎡당 0.15ton 기준으로 산정한다. 최대 소요 용수량은 아래의 식과 같이 산출한다. 최대 소요 용수량 = 총 소요 용수량 × 70%(수용률) 현장내 가설용수 인입공사가 마무리 되면 공사착수와 동시에 현장 내 가설급수 설비공사를 진행하여야 하며, 가설사무실과 가설화장실, 그리고.. 2023. 1. 12.
비산먼지 발생 원인 및 대책 비산먼지 발생 원인 건설현장에서 문제가 되는 대기오염은 아래와 같으며 비산먼지의 저감기준 및 지침을 준수하여 주변의 인근주민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속적인 지도와 점검을 실시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할 것이다. 터파기 시 각종 장비, 드릴 등 건설장비에 의한 비산먼지 굴토작업에 의한 토사의 상차, 운반, 야적 등에 의한 비산먼지 현장 내 콘크리트 부어넣기를 위한 레미콘믹서트럭의 이동에 의한 비산먼지 각종 자재 반입차량 등의 이동에 의한 비산먼지 골조 및 마감공사 중 발생하는 비산먼지 운반 작업에 따른 비산먼지 대책 공사용 차량에 의한 도로의 토사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사장 출입구에 세륜, 세차시설을 설치하고 진입도로 및 차량 이동로에는 1일 3회 이상 살수차.. 2023. 1. 12.
[가설공사] 대지측량과 현황측량 등 경계측량 현장에서 공사를 수행하기에 앞서 공사 대지에 대한 경계측량을 시행하여 대지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설계도면의 배치도와 실제 대지가 일치하는지 확인을 실시한다. 이는 공사 준공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신중을 기해야 한다. 측량은 관할지역 국토정보공사(지적공사)에 신청하여 실시하게 되며, 측량과정에서 인접 대지의 주인과 해당 공사의 건축주, 감독자, 감리자 등을 입회시켜 명확히 하여야 한다. 현황측량(현상측량) 지적공사에서 시행하는 현황측량과는 다르게 측량전문 용역업체에 의하여 시행하는 것으로서 대지의 고저, 지상물의 현황, 그리고 인접건물과의 이격거리 등을 명확히 하여 공사 계획 시에 토공량의 산출과 기준점(bench mark)의 확정 등을 위해서 실시한다. 구 분 설 명 경계복원측량 - 지적 .. 2023. 1. 11.
[가설공사] 가설울타리 및 가설출입문, 가설건물 등 가설울타리와 가설출입문 가설울타리 가설울타리는 공사현장의 주위를 둘러싸는 담장을 말하며, 공사범위를 명확히 하고 도난이나 침입 방지, 보안, 그리고 미관상의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가설울타리용 자재로는 합판, 철판, 철망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EGI 자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가설울타리의 높이는 1.8m 이상으로 하고, 비산먼지를 막기 위해 울타리 상부에 방진막을 설치하기도 한다. 또한 주택가나 시가지에서는 소음을 막기 위해 방음벽을 가설울타리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가설출입문 가설출입문은 현장에서 사람의 통행과 자재의 출입을 위해 작업 동선, 가설 도로, 주변 도로와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수량과 위치를 결정하여 설치한다. 출입문은 접이식 문과 쪽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차량 등.. 2023. 1. 10.
[가설공사] 개요 가설공사의 개요 가설공사는 건축공사에서 본 공사를 위하여 필요한 일시적인 설비를 하는 공사를 말한다. 가설공사로 취급되는 것은 공사 초기에 설치되었다가 해당 가설이 필요한 해당 공종의 공사가 끝나면 해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부분의 가설공사는 본 공사가 완료된 후에 철거해서 다른 현장의 공사에 재전용한다. 그래서 가설공사에서의 기술적 차이와 적절한 전용은 공사원가와 생산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공사계획 시의 충분한 검토는 공사이익 확보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따라서 가설공사는 현장여건, 공사의 규모, 공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공사의 성격에 따라 사전에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가설공사의 분류 가설공사는 크게 공통가설공사, 직접가설공사 그리고 가설장비로 분류 할 수 있다. 공통.. 2023. 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