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토공사4

[토공사] 흙막이 공사 개요 흙막이 개요 흙막이는 건축물의 지하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터파기 공사 과정에서 지반의 붕괴나 주변 침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물이다. 흙막이는 가설 구조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의 공법들은 본구조물의 부재를 흙막이로 사용하여 시공성, 경제성, 안전성 측면에서 개선된 공법들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흙막이는 굴착 깊이 3m 이상의 경우, 토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위험방지를 위한 흙막이를 하게 되며, 3m 이하의 경우는 흙막이를 할 경우와 경사구배를 할 경우를 비교하여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을 선택한다. 이러한 흙막이 공사의 방법과 구조는 기초파기의 깊이, 넓이, 토질, 지하수, 인접부지, 근접건물, 도로 등의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흙막이의 3가지 구성요소 흙막이 벽체 : 흙막이 뒤쪽의 흙.. 2023. 1. 26.
[토공사] 터파기 공사 1. 터파기 공사 분류 (1) 터파기 모양에 따른 분류: 구덩이 파기, 줄파기, 온통파기 (2) 터파기 형식에 따른 분류: 경사 터파기, 흙막이 터파기, 아일랜드 공법, 트렌치 컷 공법, 케이슨 공법 등 2. 터파기 공법 (1) 경사터파기 굴착단면을 토질의 안정구배인 사면이 유지되도록 하며 파내는 방법이다. 이 공법은 터파기 하는 면적에 비해 대지면적이 클 경우 가능하다. 작업 및 안전을 고려한 비탈면의 높이는 3~6m 정도가 적당하며, 그 이상 깊이 팔 때는 다단 흙막이를 하고 2~3m 정도 폭의 중간 단을 두는 것이 안전하다. (2) 흙막이 터파기 건축물이 밀집한 시가지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이다. 흙막이를 건물의 주위에 설치하고 이를 지지하면서 소정의 깊이까지 파내고 기초를 구축하는 방법이다... 2023. 1. 20.
[토공사] 지반조사의 개념 및 지반조사 방법 지반조사 지반조사란 건물의 하중을 안전하게 받기 위하여 지반에 대해 사전에 조사하는 활동이다. 대지 내의 토층, 토질, 지하수위, 장애물 상황 등을 조사하여 건축물의 기초 및 토공사의 설계·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구하기 위해 실시한다. 지반조사는 공사와 관련된 토질의 제반 특성들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사전에 본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과 예산을 충분히 감안하여 시행해야 한다. 지반조사는 토공사를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중요하며, 조사방법의 선택과 활용은 공사 품질을 좌우할 수도 있다. 지반조사 방법(지하탐사법) 터파보기(test pit) 소규모의 공사에서 얕은 지층의 토질, 지하수 등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구덩이를 파보는 방법이다. 굴착규모는 지름 60~90cm, 깊이 1.5~3... 2023. 1. 19.
[토공사] 토공사의 정의 및 범위 토공사의 정의 토공사는 건축물의 지하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이루어지는 터파기 공사와 흙막이 공사 및 이에 부수되는 공사를 말한다. 토공사의 범위 표토제거, 절토, 성토, 등의 지반정지공사, 터파기, 잔토처리, 되메우기 등의 굴토공사, 흙막이벽체, 지지체, 차수벽 등의 흙막이 공사 등이 토공사의 범주에 포함된다. 개요 토공사는 건축물의 고층화, 대형화에 따라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 건축물의 지하공사는 높은 지가와 주차공간 확보의 필요성 등으로 굴착 깊이는 깊어지고 규모는 점차 커지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하공사의 작업은 작업공간의 확보, 지중 매설물 보호, 인접 구조물 피해 예방, 민원 축소화 등에 있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과거 토공사의 주된 관심사항은 흙막이벽체의 안전에 있었지만 .. 2023.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