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 언더피닝 공법의 개념과 종류 언더피닝(under pinning) 공법은 기존 건축물의 기초를 보강하거나 새로운 기초를 설치하여 기존 건축물을 보호하는 공법을 말한다. 아래에서 언더피닝 공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1. 언더피닝 공법의 개념 언더피닝 공법은 기존 건축물의 기초를 보강하거나 새로운 기초를 설치하는 등 기존 건축물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일컫는다. 언더피닝 공법은 터파기 공사나 흙막이공사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인접 건축물에 대한 피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철저한 사전조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자동계측 장비 등을 이용한 계측관리를 통해 안전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언더피닝 공법이 적용되는 경우를 자세히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건물에 침하나 경사가 생겼을 때 이를 복원하는 경우 기존구조물의 지지력이 .. 2023. 5. 30. 지반개량공법 지반개량이란 지내력이 불충분한 연약지반을 개량하여 지지력을 증강시키고, 구조물의 부동침하를 저지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토질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방개량공법의 종류와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1. 지반개량공법 종류 치환법: 연약토를 양질토로 치환하여 양질의 지지층을 만드는 공법 탈수법: 주로 점토질 지반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지반 중의 수분을 탈수시킴으로써 지반의 밀도를 높이는 공법 다짐법: 주로 사질 지반에 이용되며 진동·다짐에 의해 지반을 개량하는 공법 그라우팅공법: 연약지반에 약액을 주입하여 흙입자 간의 공극을 채움으로써 지반의 지내력을 강화하는 공법 2. 사질지반 개량공법 1) 진동다짐(vibro flotation) 공법 길이 1m, 지름 20cm 정도인 진동기를 물을 분출시키면서 지반에 삽입하.. 2023. 5. 26. [지정 및 기초공사]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공법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은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이라고도 부른다.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공법의 종류에는 크게 관입공법, 굴착공법, 프리팩트 파일 공법 등이 있다. 개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은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이라고도 부르며, 현장에서 지중에 구멍을 뚫고 그 속에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를 충전하여 형성하는 말뚝을 말한다. 1. 관입공법 1) 컴프레셜 파일(compressol concrete pile) 1.0~2.5t 정도의 세 가지 추를 이용하여 끝이 뾰족한 추로 지반을 천공한 후 잡석과 콘크리트를 교대로 투입하면서 끝이 둥근 추로 콘크리트를 다져 넣은 후 평평한 추로 다지는 방법이다. 요즘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공법이다. 2) 심플렉스 파일(simplex concrete pile) 굳은 지반에 강관.. 2023. 5. 23. [지정 및 기초공사] 말뚝 지정 1. 말뚝의 목적에 의한 분류 (1) 지지말뚝 : 말뚝을 연약한 지반을 관통시켜 견고한 지반에 도달시킴으로써 선단지지력에 의하여 하중을 지반에 전달한다. (2) 마찰말뚝 : 굳은 지반이 깊이 있을 경우, 말뚝과 지반의 마찰력에 의하여 하중을 지지한다. (3) 다짐말뚝 : 무른 지반을 밀실 하게 다지기 위한 목적으로 말뚝을 사용하는 경우로, 느슨한 사질토 지반을 압축하여 지반개량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말뚝의 재료 및 제조방법에 의한 분류 말뚝의 재료와 제조방법에 따라서 나무말뚝, 강재말뚝, 기성 콘크리트 말뚝,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나무말뚝 장점 단점 가공 및 취급이 편리하다 공기, 시공, 가격 측면에서 유리하다 하중이 적고 상수면이 얕은 곳에 유리하다 말뚝 재.. 2023. 2. 7. [지정 및 기초공사] 기초와 지정의 분류 1. 기초판 형식에 의한 분류 (1) 독립기초 하나의 기초판이 한 개의 기둥을 지탱하는 형태를 말한다.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도 용이하지만 기초의 부동침하 등 우려가 있다. 소규모 건축물과 공장, 창고 등의 스팬이 긴 건물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2) 복합기초 하나의 기초판이 두 개 이상의 기둥을 지지하고 있는 방식으로 독립기초와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형 건축물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형태의 기초이다. (3) 연속기초 기둥 또는 벽체의 하중을 연속된 기초로 지지하는 형식으로 줄기초라고도 한다. 주로 조적구조의 건축물에서 많이 사용된다. (4) 온통기초 상부구조의 전 하중을 하나의 기초판으로 지지하는 형태의 기초이다. 대형 건축물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지반 허용지지력이 작을 경우에도 사용.. 2023. 2. 4. [지정 및 기초공사] 지정과 기초 기초 기둥, 벽 등의 상부구조물로부터 하중을 지반 또는 지정에 전달시키기 위해 설치된 건축물 최하단부의 구조부를 말한다. 기초판과 지정은 기초에 포함된다. 기초판 기둥, 벽 등으로부터 상부구조물에서 전달되는 힘을 받아 지정에 전달하는 건축물의 부분을 말한다. 기초판과 상부구조물과의 관계에 따라 독립기초, 복합기초, 연속기초, 온통기초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정 기초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기초를 보강하거나 지반의 내력을 보강하기 위한 지반다짐, 잡석다짐, 말뚝박기 등을 한 부위를 말한다. 말뚝은 기초판으로부터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기 위해 기초판 아래의 지반 중에 설치하는 기둥형태의 지정을 말하는 것으로 지정의 한 종류이다. 2023. 2. 3. [토공사] 흙막이 주변지반의 침하원인 및 대책 흙막이 주변지반의 침하원인 및 대책 흙막이 공사에서 주변 지반의 침하는 흙막이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과 강제배수로 인한 압밀침하, 피압수에 의한 부품 현상 등에 의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전조사, 계측관리, 토질에 맞는 공법의 선정 및 지하수에 대한 대책을 철저히 수립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1. 히빙 파괴(heaving failure) 하부지반이 연약할 때 터파기 저면에서 흙막이 바깥에 있는 흙의 중량과 지표재하 하중의 중량에 견디지 못하고 저면 흙이 붕괴되면서 흙막이 바깥에 있는 흙이 안으로 밀려 불룩하게 되어 흙막이가 파괴되는 현상이다. 방지대책으로 흙막이벽의 묻힘 깊이를 깊게 하거나, 터파기 밑면 아래 지반을 개량하거나, 아일랜드 공법을 채택하여 공사장 내에 중량을 부여하여 등의 방법으로.. 2023. 2. 1. [토공사] 흙막이 지지공법 1. 버팀대 공법 (1) 수평버팀대(strut) 공법 버팀대 공법은 굴착하고자 하는 부지의 외곽에 흙막이벽을 설치하고 양측 토압의 균형을 이용하여 수평 버팀대, 띠장 등의 강재를 지지체로 흙막이벽을 지지하는 공법이다. (2) 경사버팀대 공법 수평버팀대 대신에 경사버팀대(레이커)를 사용하여 흙막이벽을 지지하는 공법이다. 2. 어스 앵커(earth anchor) 공법 H파일을 수직 설치한 후 굴착과 함께 흙막이벽을 설치하고, 엉스 앵커(earth anchor)를 시공하여 흙막이벽을 지지하는 방법이다. 버팀대 대신에 굴착 주변 지반 층에 앵커체를 형성하여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압을 부담하게 한 공법이므로, 도심지의 경우 인근 지반에 앵커체를 묻기 어렵기 때문에 시공 계획 시 충분히 공법 적용성이 고려되어야 한.. 2023. 1. 31. [토공사] 흙막이벽체 공법 1. 엄지말뚝 공법 H-Pile + 토류판 공법이라고도 하며, 엄지말뚝을 지중에 삽입한 후 굴착을 진행하면서 목재 토류판을 설치하여 흙막이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2. 주열벽 공법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S.C.W 공법과 C.I.P 공법 등이 있다. (1) S.C.W(soil cement wall) 공법 SCW전용 특수 다축 오거를 이용하여 지반을 천공하여 선단으로부터 시멘트 밀크, 벤토나이트 등의 혼합액을 토출 시켜 굴착토와 혼합하여 소일시멘트벽을 조성하여 벽을 겹치게 하여 연속적인 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높은 차수성으로 점성토에서도 비교적 양질의 벽체형성이 가능하며, 소음과 진동이 적고 벽두께, 벽길이를 자유롭게 시공할 수.. 2023. 1. 27.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