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흙막이 주변지반의 침하원인 및 대책
흙막이 공사에서 주변 지반의 침하는 흙막이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과 강제배수로 인한 압밀침하, 피압수에 의한 부품 현상 등에 의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전조사, 계측관리, 토질에 맞는 공법의 선정 및 지하수에 대한 대책을 철저히 수립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1. 히빙 파괴(heaving failure)
하부지반이 연약할 때 터파기 저면에서 흙막이 바깥에 있는 흙의 중량과 지표재하 하중의 중량에 견디지 못하고 저면 흙이 붕괴되면서 흙막이 바깥에 있는 흙이 안으로 밀려 불룩하게 되어 흙막이가 파괴되는 현상이다.
방지대책으로 흙막이벽의 묻힘 깊이를 깊게 하거나, 터파기 밑면 아래 지반을 개량하거나, 아일랜드 공법을 채택하여 공사장 내에 중량을 부여하여 등의 방법으로 히빙 현상을 방지한다.
2. 보일링(boiling) 현상
투수성이 좋은 사질지반에서 흙막이 벽 뒷면의 수위가 높아서 지하수가 흙막이벽을 돌아 모래와 같이 솟아오르는 현상으로 분사현상이라고도 한다.
흙막이벽의 묻힘 깊이를 불투수층까지 깊게 하거나, 웰포인트 공법 등으로 지하수위차를 적게 하고, 수밀성이 큰 흙막이 공법을 선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보일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3. 파이핑(piping) 현상
흙막이벽의 부실공사로 뚫린 구멍 또는 이음새를 통하여 물이 공사장 내부 바닥으로 스며드는 현상을 말한다.
지하수위를 저하시키거나 흙막이벽을 밀실 하게 시공하고, 차수성이 좋은 흙막이 공법을 선정하여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반응형
'건축시공 > 토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공사] 흙막이 지지공법 (0) | 2023.01.31 |
---|---|
[토공사] 흙막이벽체 공법 (1) | 2023.01.27 |
[토공사] 흙막이 공사 개요 (0) | 2023.01.26 |
[토공사] 터파기 공사 (0) | 2023.01.20 |
[토공사] 지반조사의 개념 및 지반조사 방법 (3) | 202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