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흙막이 개요
흙막이는 건축물의 지하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터파기 공사 과정에서 지반의 붕괴나 주변 침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물이다.
흙막이는 가설 구조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의 공법들은 본구조물의 부재를 흙막이로 사용하여 시공성, 경제성, 안전성 측면에서 개선된 공법들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흙막이는 굴착 깊이 3m 이상의 경우, 토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위험방지를 위한 흙막이를 하게 되며, 3m 이하의 경우는 흙막이를 할 경우와 경사구배를 할 경우를 비교하여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을 선택한다.
이러한 흙막이 공사의 방법과 구조는 기초파기의 깊이, 넓이, 토질, 지하수, 인접부지, 근접건물, 도로 등의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흙막이의 3가지 구성요소
- 흙막이 벽체 : 흙막이 뒤쪽의 흙이 공사장 안으로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위한 부분
- 흙막이 지지체 :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흙막이 벽체가 붕귀되지 않도록 지지
- 차수 및 지반보강 : 지하수의 유입을 막거나 연약지반에서 지반의 움직임으로 인한 주변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반을 보강
흙막이 공사의 주의할 점
- 주위 소음과 진동의 발생에 주의한다
- 주위 지반의 이동과 침하가 없도록 시공방법과 절차를 사전에 검토한다
- 흙막이벽이 갖는 특징과 사용하는 재료를 이해한다
- 작업공간을 확보한다
- 지중 장애물을 사전에 제거한다
반응형
'건축시공 > 토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공사] 흙막이 지지공법 (0) | 2023.01.31 |
---|---|
[토공사] 흙막이벽체 공법 (1) | 2023.01.27 |
[토공사] 터파기 공사 (0) | 2023.01.20 |
[토공사] 지반조사의 개념 및 지반조사 방법 (3) | 2023.01.19 |
[토공사] 토공사의 정의 및 범위 (0)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