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시공/가설공사

비산먼지 발생 원인 및 대책

by Master builder 2023. 1. 12.
반응형

[비산먼지 발생]

비산먼지 발생 원인

건설현장에서 문제가 되는 대기오염은 아래와 같으며 비산먼지의 저감기준 및 지침을 준수하여 주변의 인근주민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속적인 지도와 점검을 실시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할 것이다.

  1. 터파기 시 각종 장비, 드릴 등 건설장비에 의한 비산먼지
  2. 굴토작업에 의한 토사의 상차, 운반, 야적 등에 의한 비산먼지
  3. 현장 내 콘크리트 부어넣기를 위한 레미콘믹서트럭의 이동에 의한 비산먼지
  4. 각종 자재 반입차량 등의 이동에 의한 비산먼지
  5. 골조 및 마감공사 중 발생하는 비산먼지

 

운반 작업에 따른 비산먼지 대책

  1. 공사용 차량에 의한 도로의 토사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사장 출입구에 세륜, 세차시설을 설치하고 진입도로 및 차량 이동로에는 1일 3회 이상 살수차를 운행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2. 토사 및 굴재 운반 시 덮개를 씌워 운행한다.
  3. 골재 야적장에는 덮개를 씌워 둔다.
  4. 공사장과 접해있는 지역은 가설 울타리 위에 방지막을 설치한다.
  5. 공사차량 주행도로는 주기적으로 살수를 실시하고 떨어진 흙은 발생 즉시 청소한다.
  6. 공사장 출입구에는 환경관리 관련 인원을 배치하여 공사차량의 세륜 상태 및 덮개 상태를 점검하도록 한다. 또한, 주변 청소원을 배치하여 관리한다.

[방진막(이미지방진막)]

 

건설장비 운용 및 골조공사 시 비산먼지 대책

  1. 공사장의 경우 방진벽 및 방진망을 설치하고 4층 이하의 건물인 경우 1일 3회 이상 살수를 실시한다.
  2. 현장에서 운용되는 건설장비는 대기오염 방지장치의 부착을 의무화한다.
  3. 먼지가 날리지 않도록 살수하여 적절한 수분을 유지하도록 하고, 2층 이상 작업 시에는 쓰레기 슈트를 설치하여 쓰레기를 처리한다.

 

공종별 먼지발생 원인 및 저감대책

토공사

- 터파기 및 되메우기 먼지 발생

  • 이동식 살수설비 사용
  • 바람이 심할 경우 작업 중지

- 굴착 및 운반장비 사용

  • 살수설비 이용 비산 방지
  • 수송차량 적재물에 덮개 설치
  • 세륜 세차 후 현장 출발
  • 현장 내 저속운행 및 통행도로 수시 살수

콘크리트 공사

- 거푸집 공사 시 먼지 발생

  • 운반정리 시 방진막 덮음
  • 운반정리 단순화로 먼지발생 억제

- 콘크리트 타설 후

  • 타설부위 이외에 떨어진 콘크리트를 건조 전 제거
  • 정밀시공으로 먼지 발생요소 사전 제거(형틀 밀실 제작 등)
  • 타설 시 가림판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비산방지

- 레미콘 및 지게차 사용

  • 현장 내 저속운행
  • 세륜 및 세차 후 현장 출발
  • 통행도로를 수시로 살수
  • 적재함 청소
  • 이동식 덮개 사용 후 운행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