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설용수
가설용수는 공사용, 방화용, 식수, 위생설비, 청소를 위해서 지하수를 개발하여 사용하거나 상수도를 현장에 인입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지하수 개발이 가능할 경우는 지하수를 공사용수로 사용하고, 지하수 개발이 어려울 경우에는 상수도를 사용하는 편이다.
현장에서 사용하는 위생용수는 현장사무실, 화장실, 숙소, 세면장용의 경우, 하루에 1인당 40ℓ를 기준으로 하며, 공사용수는 공사용, 세륜용 등으로 바닥면적 100㎡당 0.15ton 기준으로 산정한다.
최대 소요 용수량은 아래의 식과 같이 산출한다.
최대 소요 용수량 = 총 소요 용수량 × 70%(수용률)
현장내 가설용수 인입공사가 마무리 되면 공사착수와 동시에 현장 내 가설급수 설비공사를 진행하여야 하며, 가설사무실과 가설화장실, 그리고 세륜세차시설의 가설급수 공사를 진행한다.
가설전기
가설전기설비는 빌딩, 공장, 아파트, 터널 등의 신축, 증·개축 시 임시로 수전하여 단기간 사용하고 철거하는 전기설비를 말한다.
가설전기 인입은 현장개설과 동시에 시작하는 것이 좋다. 가설변대의 위치는 전주와의 거리, 부지 내 가설전기의 동선관계, 공터, 안전성, 공사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임시전력 총용량(kW) 살춘 후 가설전기 인입공사 대행업체에 의뢰하여 시행한다.
또한 착공 전 최대 전력량을 산정하여 사용 전력량을 결정하는데, 그 방법은 아래와 같다.
- 동시사용계수는 최대 전력량의 60% 정도로 한다.
- 통상 호이스트는 대당 30kW, 집 크레인은 50kW, 타워크레인은 75kW로 한다.
- 양중기계는 스타트 시 전력이 많이 필요하므로, 소요전력량을 감안한다.
반응형
'건축시공 > 가설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설공사] 비계 (0) | 2023.01.16 |
---|---|
양중 장비 (0) | 2023.01.13 |
비산먼지 발생 원인 및 대책 (0) | 2023.01.12 |
[가설공사] 대지측량과 현황측량 등 (0) | 2023.01.11 |
[가설공사] 가설울타리 및 가설출입문, 가설건물 등 (0) | 2023.01.10 |